23일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다음달 18일 열리는 올해 5·18 기념행사를 지난해 수준으로 개최한다는 방침을 정하고 실무준비에 본격 착수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첫 정부 기념행사로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지난해 5·18 기념식에는 1만여명이 참석했다. 당시 4년 만에 대통령이 참석했고 초청장이 없어도 누구나 행사장에 들어갈 수 있는 ‘열린 기념식’으로 치러졌다. 기념식 참석자 1만여명은 5·18이 정부 기념일로 지정된 1997년 이래 역대 최대 규모였다.
보훈처 관계자들은 지난 1월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5·18기념식은 지난해 수준으로 준비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고 국가유공자 좌석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보훈처는 현재 실무진을 꾸리고 구체적인 행사 계획안을 수립 중이다.
광주지방경찰청도 지난 20일 5·18기념재단을 방문해 5월 단체들과 올해 기념식에 대해 협의했다. 이날 자리에는 배용주 경찰청장과 정춘식 5·18유족회장, 김후식 5·18부상자회장, 양희승 5·18구속부상자회장, 조진태 5·18기념재단 상임이사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제38주년 5·18기념식과 관련, 올해도 대규모 행사가 예상되는 만큼 안전하게 치를 수 있도록 상호 협력하자고 뜻을 모았다. 5·18단체장들은 5·18의 역사적 의미를 잘 보여줄 수 있도록 경찰의 열린 모습을 기대했으며 집회의 자유를 보장하는 인권친화적 집회시위 관리방안 등에 대해서 논의했다.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는 ‘보아라 오월의 진실, 불어라 평화의 바람’ 슬로건 아래 다양한 행사를 준비 중이다. 다음달 31일까지 광주·전남, 서울, 대구, 부산, 대전 등 전국 각지와 독일 베를린 등에서 문화·예술·학술·교육·종교 등 11개 분야 130여개 행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한편 광주시와 광주문화재단은 민중의 뜨거운 삶과 시대정신이 담긴 ‘임을 위한 행진곡’을 국내 뿐 아니라 전 세계인들이 감동받을 수 있는 다양한 문화예술 콘텐츠로 제작·보급하는 등 대중화·세계화하는 작업을 올해부터 본격화하기로 했다.
5개년 사업으로 추진되는 대중화·세계화 사업은 올해 1차년도 사업으로 전 세계인들이 접하기 쉬운 보편적인 감성의 언어인 클래식(관현악곡)으로 제작, 국내·외 연주회 등을 가질 예정이다.